본문 바로가기

Network Tech/전력선 통신 PLC

다이나믹 리피팅 테스트를 위한 필터구성

 애쉴론의 스마트서버는 다이나믹 리피팅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는 설치시 통신거리 확장을 위해 특정 노드를 리피터로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리피팅 체인을 변경하는것을 얘기합니다. 일반적으로 무선 지그비에서 메쉬방식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무선환경도 마찬가지이지만 전력선 통신도 비가온다던지 기타 여러 요인들로 노이즈환경이라든지 임피던스가 시시각각 변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특정 노드를 리피터로 설정하고 고정된다면 어쩌면 그 리피터 노드까지 통신이 안되어 나머지 노드들과도 통신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겠죠.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애쉴론의 스마트서버는 다이나믹 리피팅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마스터 격인 스마트서버 장비가 네트워크 환경을 시시각각 체크라여 가장 최상의 리피팅 체인을 구성하게 됩니다. 물론 end-to-end가 직접 통신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리피팅 노드는 필요없어 지겠죠. 하지만 어느순간 통신이 안되는 노드를 발견하게 되면 스마트서버는 자동으로 다른 노드들에게 통신이 되지 않는 노드를 찾으라는 명령을 보내게 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런 리피팅 기능이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단계에서 어떻게 구성하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시스템을 개발하는 경우 여러 리피팅체인 환경에서 구성한 시스템이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하고자 원할경우 강제로 나쁜? 전력선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게 애매합니다. 이럴때 어떻게 구성하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나쁜 환경, 즉 스마트서버에서 마지막단 노드까지 직접 통신이 안되게 하거나 여러 홉 카운트를 만드려고 통신패킷이 잘 통과하지 못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보통 필터 장비를 만들어 사용하는데요. 이게 잘 선택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필터는 통과되어야 하고 여러홉의 리피팅 체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두개의 필터는 통과하지 못해야만 우리가 원하는 테스트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됩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EMI필터를 이용하려 합니다. 그중에서도 SCHAFFNER사의 EMI필터입니다. 이 필터가 애쉴론의 전력선 통신 시그널을 한개정도는 통과 시키지만 두개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필터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모델명: FN2070-10-06 / 국내에서는 엘레파츠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http://eleparts.co.kr/EPX66FX6



 필터의 모습입니다. 전력선 라인 중간에 사진과 같이 연결하면 마치 아주 긴~~ 거리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겁니다.

아래 그림은 두개를 추가한 모습입니다.



 맨 왼쪽 검은 선에 스마트서버를 연결하고 중간의 콘센트에 노드를 그리고 마지막 오른쪽에 노드를 꽂으면 아마 가운데 꽂힌 노드가 리피팅 노드가 설정이 되어 통신을 하겠죠?


http://eidikosnetwor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