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OT

FT 네트워크와 RS-485 기술 비교 FT네트워크와 RS-485 기술 비교 각 기술의 장단점, 설치의 용이성, 총비용을 포함하여 FT기술과 RS-485를 비교할때 FT기술의 장점은 명확해진다. 이 문서는 유선기술로서 RS-485를 고려하는 제품 개발자들에게 추천된다. 소개 Internet of Things (IoT) 솔루션 개발자는 단순히 기능을 정의하는 것 이상으로 수많은 결정을 하게 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IoT 프로젝트의 1/4 만이 성공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네트워킹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여 정교한 하드웨어 및 응용 프로그램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은 IoT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데 있어 좋은 출발지점입니다. 하지만 통신 매체를 선택하는 것은 반드시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결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유선 .. 더보기
Echelon, 가로등 제어 시스템을 기반으로한 인지 비전 기술 InSight ™ 공개 Echelon Corporation 은 광범위한 스마트 도시 및 스마트 캠퍼스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있는 Vision 기반(특허출원중) 기술을 4월 18일 공개했습니다. Echelon InSight ™는 산업용 IoT (IIoT)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 된 Vision 기반의 말단 디바이스에서 인공 지능 기술을 활용합니다. InSight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는 중앙 서버가 아닌 네트워크 말단에서 수집되고 처리되며 Lumewave by Echelon® 조명 플랫폼을 사용하여 교통 정보를 전송하고 응답 시간을 줄이며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이 아키텍처는 변화하는 조건에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네트워크 대역폭 요구 사항을 최소화합니다. Echelon의 이 신기술은 처음으로 워싱턴 주 스포캔 (Spokane).. 더보기
날씨 반응형 가로등 제어 시스템 in Minesota 애쉴론은 미네소타 White Bear Lake에서 색온도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제어 시스템설치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여기에는 IBM의 Watson IoT와 연계된 날씨 반응형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다. 현재 도시의 Railroad Park내에 최근 구현된 색온도조절 솔루션과 날씨반응형 솔루션을 설치하고 있다. 이 두 개의 진보된 적응제어 기술이 결합하면서 도시 관리자는 실시간 기상테이터는 물론 시간대에 따라 공원 조명을 조절하는 스마트 컨트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눈보라가 치는 날씨에는 더 밝고 따뜻한 색으로 눈부심을 줄이거나 천둥 번개가 치는 날에는 시계확보를 위해 더 시원하고 푸르스름한 색으로 조절하는 등의 사전 정의된 환경 설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날씨 변화에 적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보기
IBM Watson과 애쉴론 IoT가 제시하는 가로등에 대한 미래 인지 컴퓨팅 기술은 앞으로 공공안전, 교통, 에너지 최적화에 따른 조명시설을 위해 외부 다양한 데이터와 가로등데이터를 결합할 것이다. 제어전문회사 애쉴론과 IBM의 Watson IoT 그룹은 조명시설뿐만 아니라 여러 외부 요인들을 수집 분석하여 가로등 운영의 최적화를 위해 팀을 구축하였다. 애쉴론은 Lumewave라 불리우는 차세대 인텔리전트 가로등 제어 시스템에 Watson의 분석능력을 더하게 된다고 전하고 있다. IBM은 Watson IoT를 경험을 축적하는 인지 컴퓨팅이라 설명하며 이것은 인공지능의 일부라고 설명한다. 기본 컨셉은 애쉴론의 게이트웨이와 컨트롤러들이 가로등 운영의 정보들을 Watson Cloud 컴퓨팅 시스템에 전달하게 된다. 애쉴론의 하드웨어는 각 조명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 더보기
IzoT 개발보드 출시 애쉴론에서 제공하고 있는 IoT솔루션인 IzoT플랫폼 개발키트가 출시되었습니다.FT채널기반의 칩을 기반으로한 개발보드와 개발환경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개발 키트에는 다음과 같은 제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1. FT6050기반의 개발보드 2 세트 2. 5개 FT6050샘플 칩3. IzoT 라우터 장비 (이더넷 to FT), 서버스택 포함4. 프로그래밍을 위한 노드빌더 툴5. 커미셔닝 툴(네트워크 구성툴) 더보기
IoT솔루션 IzoT 플랫폼 소개 얼마전부터 IoT에 대한 얘기들이 많이 들리고 있습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IoT에 대해 저도 잘 몰랐고 이를 다루는 내용도 그닦 많지 않았던것 같습니다.그러던 것이 올해부터 부쩍 언론에도 많이 노출되고 많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사실 IoT(Internet of Things)라는 개념이 처음엔 쉽지 않았습니다. 뭐지 했습니다. 한국말로 하면 사물간 인터넷이라고 하는데 과연 무엇인가.필자가 내린 간단한 결론은 그냥 기존에도 통신을 하고 있던 작은 디바이스들이 지금까지는 각자의 프로토콜로 마스터 격의 게이트웨이 장치와 통신을 했다면 IoT에서는 각자 모두 IP기반의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좀더 인터넷 세상 즉 IP세상에 접근이 쉬워진다는 겁니다. 물론 그 반대로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디바.. 더보기
Echelon IoT 플랫폼인 IzoT 네트워크의 동영상 이 동영상은 애쉴론의 IzoT 솔루션 동작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IP기반 디바이스와 FT기반의 백넷IP 디바이스들이 서로 동작하고 있는 모습니다.이 동상상에서 보여주고 있는 특징은 이더넷 혹은 Wifi기반의 디바이스들과 FT(유선)기반의 디바이스들이 게이트웨이가 아닌 라우터를 통해 같은 프로토콜로 동작하는 IoT네트워크의 하나의 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보기